사업장의 실업급여 처리 향후 정부 지원금 영향 알아보기

📌 목차 1. 계약 만료 – 회사와 직원 모두 깔끔한 종료 2. 권고사직 – 실업급여는 가능하지만, 사업장 평가는 감점될 수도 3. 한눈에 비교: 계약 만료 vs 권고사직 4. 현장 실무자를 위한 팁 결론 자주 묻는 질문 (Q&A) 1. 계약 만료 – 회사와 직원 모두 깔끔한 종료 계약 만료란 정해진 계약 기간이 종료되어 근로계약이 자동 종료되는 경우를 말합니다. 근로자는 본인의 의사와 무관하게 퇴직하게 되므로 실업급여 수급 요건에 해당하며, 사업주 입장에서도 별도의 부담 없이 퇴직처리가 가능합니다. 실무상 핵심 포인트: 고용보험 자격 취득 신고 시, 반드시 ‘기간제 근로자’로 등록되어 있어야 합니다. 이직확인서에는 퇴사 사유를 ‘계약기간 만료’로 명확히 기재해야 합니다. 정부 지원금 영향: 없음 → 계약 만료는 사업장의 일반적인 인력 운용 과정으로 간주되어, 정부 지원금 신청 시 감점이나 제외 대상이 되지 않습니다. 2. 권고사직 – 실업급여는 가능하지만, 사업장 평가는 감점될 수도 권고사직은 사업장 사정에 따라 근로자가 퇴사하게 되는 경우를 말하며, 경영상 필요, 조직 개편, 근무태도 등의 사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고용보험법상 ‘비자발적 퇴사’로 인정되므로, 근로자는 실업급여를 정상적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사업장의 입장에서는 사정이 달라집니다. 실무상 유의사항: 고용보험 이직확인서에 ‘권고사직’으로 기록되면, 일정 기간 내 해고 이력이 있는 사업장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이후 정부지원금 신청 시 심사에서 감점되거나 지원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습니다. 영향 받을 수 있는 주요 제도 예시: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고용창출장려금 고용유지장려금 3. 한눈에 비교: 계약 만료 vs 권고사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