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벨이 난임치료지자체지원인 게시물 표시

난임 검사·치료 시 건강보험 및 지자체 지원 알아보기

이미지
목차 1. 건강보험 적용 가능한 난임 검사 및 치료 항목 2. 난임부부 정부지원 요건 3. 시도별 추가 지원 제도 4. 신청 방법 및 필요 서류 5. 난임 치료 시 유의사항 6. 자주 묻는 질문 (FAQ) 7. 결론 1. 건강보험 적용 가능한 난임 검사 및 치료 항목 건강보험은 난임 진단과 치료 과정에서 발생하는 일부 비용을 지원하여 부부의 경제적 부담을 덜어드립니다. 아래는 건강보험 적용이 가능한 주요 항목입니다. 1.1 난임 검사 배란유도 검사: 배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초음파 검사 및 호르몬 검사입니다. 정자검사: 남성의 정액 검사로, 정자의 수, 운동성, 형태 등을 분석합니다. 정액검사 결과는 난임 진단서 발급 시 6개월 이내 유효해야 합니다. AMH 검사: 여성의 난소 기능을 평가하는 혈액 검사입니다. 2024년부터 가임력 검진비 지원 대상으로 포함되었습니다. 초음파 검사: 자궁 및 난소 상태를 확인하는 필수 검사입니다. 기타 혈액검사: 호르몬 수치, 감염병(예: B형간염) 검사 등이 포함됩니다. 1.2 난임 치료 체외수정(IVF): 신선배아 및 동결배아 시술을 포함합니다. 2024년부터 지원 횟수가 기존 16회에서 20회로 확대되었으며, 신선/동결배아 구분이 폐지되었습니다. 인공수정(IUI): 최대 5회까지 지원해 드립니다. 비급여 항목: 배아동결비(최대 30만 원), 유산방지제(최대 20만 원), 착상유도제(최대 20만 원)까지 지원됩니다. 참고: 건강보험 적용 시술은 본인부담금의 30%만 부담하시며, 비급여 항목은 정부 지원 사업을 통해 추가 지원받으실 수 있습니다. 2. 난임부부 정부지원 요건 정부의 난임부부 시술비 지원사업은 법적 혼인 또는 사실혼 부부를 대상으로 하며, 아래 요건을 충족하셔야 합니다. 2.1 지원 대상 법적 혼인 부부: 가족관계증명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