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전국 보건소·지자체별 임산부 추가 지원 혜택

2025년 전국 보건소·지자체별 임산부 추가 지원 혜택

대한민국의 보건소 임산부 혜택과 지자체 임산부 지원은 지역마다 다채로운 임산부 추가 혜택을 제공하며 예비 부모의 경제적·심리적 부담을 줄입니다. 2025년 기준, 전국 보건소와 지자체는 엽산제, 철분제 외에도 출산지원금, 대중교통비, 산후도우미 등 다양한 지원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전국 주요 지역별 임산부 추가 지원 혜택을 꼼꼼히 정리하고,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을 상세히 안내합니다. 지금 확인하고 지역별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1. 전국 공통 임산부 지원 혜택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엽산제 지원 임신 초기(4~12주), 3개월분 무료 제공(1일 400~800㎍) 보건소 방문
(일부 지자체는 온라인 e보건소 지원)
철분제 지원 임신 16주 이후, 3개월분 무료 제공(1일 30~60mg, 다태임신 추가 지원) 보건소 방문
(일부 지자체는 온라인 e보건소 지원)
산전검사 지원 혈액형, 풍진, B형간염, HIV, 매독 등 기본 검사 무료 또는 저렴 제공 보건소 방문
모자보건수첩 임산부 등록 시 발급, 산전·산후 관리 기록 보건소 방문
국민행복카드 임신 1회당 70만 원(다태임신 100만 원), 병원/약국/한의원 결제 보건소 또는 카드사 앱/홈페이지 접수
(정부24는 신청 경로 아님)

참고: 

  • 기본 혜택은 모자보건법에 따라 전국 보건소에서 제공되며, 엽산제·철분제의 온라인 신청은 일부 지자체(예: 서울시)만 가능하므로 관할 보건소 확인이 필요합니다. 
  • 국민행복카드는 정부24가 아닌 보건소 또는 카드사(신한, 삼성, 롯데, BC 등)를 통해 신청해야 합니다.

2. 지역별 임산부 추가 지원 혜택 (2025년 기준)
2.1 서울특별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대중교통비 지원 임산부 1인당 10만 원(교통카드 충전), 임신 12주 이상 서울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지원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최대 120만 원(2주 서비스) 복지로(www.bokjiro.go.kr)/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분만법, 신생아 돌보기 교육, 무료 물품(기저귀 등) 제공 보건소 예약(예: 광명시 ☎02-2680-2899)
출산지원금 첫째 30만 원, 둘째 50만 원, 셋째 이상 100만 원(구별 상이) 구청/보건소

특이사항: 서울시는 맘편한 임신 서비스로 원스톱 신청(보건소/동주민센터) 및 엽산제·철분제 택배 배송 제공. 온라인 신청은 지자체별로 다를 수 있으니 반드시 관할 보건소 확인 필요.

2.2 부산광역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이상 200만 원 부산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 지원 산후조리원 이용 시 50만 원 지원(소득 기준 없음)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엽산제 6개월분, 비타민D 추가 제공(산모교실 참가 시) 보건소 방문
유축기 대여 전동 유축기 1개월 무료 대여(소모품 제공) 보건소 모자보건실

특이사항: 부산시는 다자녀 가정 우선 지원, 산후조리원 연계 철분제 추가 제공. 지역 보건소마다 조건이 다를 수 있으니 방문 전 확인 필수입니다.

2.3 대구광역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장려금 첫째 7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대구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00% 이하, 최대 10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교실 분만법, 모유수유 교육, 출산용품 제공 보건소 예약
영양플러스 저소득 임산부 대상 식품 꾸러미(쌀, 채소 등) 제공 보건소 방문

특이사항: 대구시는 저소득층 임산부 영양 지원을 강화하고 지역 농산물 활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보건소마다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문의가 필요합니다.

2.4 인천광역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200만 원 인천시 홈페이지/보건소
비타민D 지원 임산부 등록 시 비타민D 3개월분 무료 제공 보건소 방문
산후조리비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7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친환경 키트 친환경 유아용품(기저귀, 로션 등) 제공 보건소/구청

특이사항: 인천시는 친환경 정책과 연계하여 유아용품 지원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부 지원은 구별로 상이할 수 있으니 보건소에 사전 확인이 필요합니다.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이상 200만 원 광주시 홈페이지/보건소
산모교실 임신·육아 교육, 무료 출산용품(젖병, 담요 등) 제공 보건소 예약
저소득층 지원 중위소득 80% 이하 가구에 추가 의료비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유축기 대여 전동 유축기 1개월 무료 대여 보건소 모자보건실

특이사항: 광주광역시는 저소득층 임산부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별도 지원 항목을 운영 중이며, 유축기 대여 시 소모품은 별도 구매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6 대전광역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장려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대전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20% 이하 가구, 최대 8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분만 준비 교육, 무료 출산용품 제공 보건소 예약
영양제 추가 지원 철분제 외 칼슘제 3개월분 제공(예산 내) 보건소 방문

특이사항: 대전광역시는 임산부 교육 프로그램을 다양화하고 있으며, 산후조리비는 일부 구에서 자체 예산으로 별도 지원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관할 보건소에 문의 바랍니다.

2.7 울산광역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7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울산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비 소득 기준 없음,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엽산제, 철분제 외 비타민D 제공 보건소 방문
산모교실 출산·육아 교육, 무료 출산용품(기저귀, 담요 등) 제공 보건소 예약

특이사항: 울산광역시는 소득 기준 없는 산후조리비 지원이 강점이며, 일부 보건소에서는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2.8 세종특별시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이상 200만 원 세종시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10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친환경 꾸러미 친환경 농산물(쌀, 채소 등) 30만 원 상당 제공 보건소/시청
유축기 대여 전동 유축기 1개월 무료 대여 보건소 모자보건실

특이사항: 세종시는 친환경 농산물 지원을 통해 지역 농업 활성화에 기여하며, 신청 시 조기 마감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빠른 신청이 필요합니다.

2.9 경기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친환경농산물 지원 임신·출산 산모 대상 40만 원 상당 꾸러미(보조 32만 원, 자부담 8만 원) 경기민원24(gg24.gg.go.kr)/주민센터 (3월 한정 접수)
출산지원금 첫째 50~100만 원, 둘째 이상 100~200만 원 (시·군별 상이) 시·군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12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모유수유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특이사항: 경기도는 친환경농산물 지원이 매년 3월 한정으로 신청을 받으며 조기 마감될 수 있으므로 사전 준비가 필요합니다.

2.10 강원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장려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시·군별 상이) 강원도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비 중위소득 100% 이하,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엽산제, 철분제 외 비타민D 제공(예산 내) 보건소 방문
산모교실 출산·육아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특이사항: 강원도는 산간 지역의 접근성을 고려해 엽산제 및 철분제 등 일부 지원을 택배 배송으로 확대하는 추세입니다.

2.11 충청북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충북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20% 이하, 최대 8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분만법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영양플러스 저소득 임산부 대상 식품 꾸러미 제공 보건소 방문

특이사항: 충북은 저소득층 임산부 영양 지원 프로그램을 활발히 운영하며, 보건소별 예산에 따라 혜택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2.12 충청남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충남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비 소득 기준 없음,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철분제, 비타민D 추가 제공 보건소 방문
유축기 대여 전동 유축기 1개월 무료 대여 보건소 모자보건실

특이사항: 충남은 소득 기준 없이 산후조리비를 지원하며, 각 보건소별 서비스 범위와 재고 상황에 따라 유축기 대여 조건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문의가 필요합니다.

2.13 전라북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장려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전북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10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모유수유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친환경 꾸러미 친환경 농산물 30만 원 상당 제공 보건소/도청

특이사항: 전북은 친환경 농산물 지원을 통해 임산부의 영양 관리를 강화하며, 지역 농업 활성화 정책과 연계하고 있습니다.

2.14 전라남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전남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비 중위소득 100% 이하,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엽산제, 철분제 외 칼슘제 제공(예산 내) 보건소 방문
산모교실 출산·육아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특이사항: 전남은 농어촌 지역의 임산부 지원을 강화하고 있으며, 농촌 보건소에서도 동일한 수준의 혜택을 제공합니다.

2.15 경상북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경북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10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건강교실 태교, 분만법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영양플러스 저소득 임산부 대상 식품 꾸러미 제공 보건소 방문

특이사항: 경북은 저소득층 지원 프로그램이 다양하며, 농촌 지역 임산부의 접근성을 고려한 방문 보건 서비스를 병행합니다.

2.16 경상남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50만 원, 둘째 100만 원, 셋째 이상 150만 원 경남 홈페이지/보건소
산후조리비 소득 기준 없음, 50만 원 지원 보건소/복지로
임산부 영양제 철분제, 비타민D 추가 제공 보건소 방문
유축기 대여 전동 유축기 1개월 무료 대여 보건소 모자보건실

특이사항: 경남은 소득 기준 없는 산후조리비 지원이 강점이며, 도내 전역에서 임산부 건강교실을 정기적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2.17 제주특별자치도
혜택 내용 신청 방법
출산지원금 첫째 100만 원, 둘째 150만 원, 셋째 이상 200만 원 제주도 홈페이지/보건소
산후도우미 중위소득 150% 이하, 최대 100만 원 지원 복지로/보건소
임산부 친환경 꾸러미 친환경 농산물 30만 원 상당 제공 보건소/도청
산모교실 출산·육아 교육, 무료 물품 제공 보건소 예약

특이사항: 제주도는 친환경 농산물과 관광 연계 혜택을 제공하며, 출산 장려 정책이 강화되고 있습니다.

3. 신청 방법 및 유의사항
3.1 신청 방법
방법 세부 절차
오프라인 - 관할 보건소/동주민센터 방문
- 필요 서류: 신분증, 임신확인서, 주민등록등본
- 신청서 작성 및 서류 제출
온라인 - 정부24(www.gov.kr), 복지로(www.bokjiro.go.kr), 지자체 홈페이지(e보건소 등)
- 서류 업로드: PDF/JPG(파일당 10MB 이하)
- 예: 경기민원24(gg24.gg.go.kr)
대리 신청 - 배우자 또는 직계가족 가능(위임장, 신분증 필요)

참고: 온라인 신청은 맘편한 임신 서비스(예: 서울시, 서대문구)로 통합 지원 가능합니다.

  • 최신 정보 확인: 지자체 정책은 예산 및 시기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보건소 또는 공식 홈페이지에서 반드시 확인하세요.
  • 사기 주의: 출산박람회 등에서 비등록 업체의 사칭에 유의해야 하며, 바우처 자격 판정은 보건소에서만 가능합니다.
  • 소득 기준: 산후도우미, 출산지원금 등은 중위소득 100~150% 이하 가구 대상(지자체별 상이)일 수 있으니 반드시 사전에 확인하세요.
  • 서류 준비: 임신확인서(발급일 3개월 이내), 영수증(소급 지원 시) 등은 선명한 상태로 준비해야 하며, 불명확한 서류는 반려될 수 있습니다.
4. 자주 묻는 질문 (FAQ)
질문 답변
지자체별 혜택은 어디서 확인하나요? 관할 보건소, 지자체 공식 홈페이지, 복지로(www.bokjiro.go.kr)에서 최신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모든 임산부가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엽산제 등 기본 혜택은 소득 무관하게 제공되며, 출산지원금이나 산후도우미 등 일부 혜택은 소득 기준이 적용됩니다.
온라인 신청이 가능한 지역은 어디인가요? 서울, 경기, 인천 등 대도시 중심으로 e보건소 또는 정부24 등에서 온라인 신청이 가능합니다. 지역별 상황은 보건소에 문의하세요.
5. 결론

2025년 전국 보건소와 지자체는 보건소 임산부 혜택과 지자체 임산부 지원을 통해 임산부 추가 혜택을 폭넓게 제공합니다. 서울의 대중교통비, 부산의 산후조리 지원, 경기의 친환경농산물 등 지역별 특화 혜택을 놓치지 마세요. 임신 초기 보건소 등록 후 정부24, 복지로, 또는 지역 e보건소를 통해 신청하고, 최신 정보를 확인해 모든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지금 바로 www.gov.kr 또는 관할 보건소를 방문해 신청을 시작해보세요!

문의처:
보건복지부 고객센터: ☎129
정부24 헬프데스크: ☎1588-2188
지역 보건소 문의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2025년 실업급여 총정리. 처음읽으시는분 환영. 실업급여 대상자,지급액,신청방법

2025 실업급여 수급중 신고해야할 경우,신고사례

실업급여 실업인정일,실업급여 신청기간 헷갈리는부분 총정리